2017년 특별 교육 & 학교 적응력 향상 프로그램(고)

2020. 4. 4. 12:56집단상담 및 집단교육

2017년 11월 10일 (특별 교육 & 학교적응력향상)

 

쌀쌀한 가을바람에 분주하게 시작한 하루는 길기만 했습니다.

 

오전에는 저에게 고민을 한가득 안겨주는 친구들과 함께했던

월요일부터 시작했던 5일간의 여정을 마무리했습니다.

 

특별 교육을 진행하다 보면 잘하고 싶은 저의 개인적인 목표와 욕심을 버리지 못하면

아이들이 튕겨 나가기도 합니다.

 

특별 교육 친구들 중 학교 출석의 어려움 또는 출석은 하더라도 내내 엎드려 있거나 수업을 방해하게 되기 때문에 교사와의 갈등 속에서 불손한 행동을 하게 되어 사회봉사 나 특별교육을 받으러 오는 친구들도 많습니다.

 

이번에 만났던 친구들중에도

"학교에서 수업 시간에 잘 때 깨우지 않는 선생님이 좋은데요,

깨워서 안 자고 있었더니 수업에 방해된다고 혼내는 교사를 생각하며 면 화가 나잖아요,"라는 아이는 살기 어린 눈빛을 되어 막말을 쏟아냅니다.

 

옆에 있던 고등학생들도 그런 친구들은 어차피 방해되니 그냥 두는 것이 좋다는 의견을 줍니다.

"잠을 자는 것은 아이의 권리인데 왜 침해하는지 이해가 안 돼요?"는

의견이 대부분이라 더욱 마음이 무거워진 하루였다.

 

제법 사는 동네에서 진행하는 교육이라서 그런지, 요즘 청소년들의 있어 보이려는 마음 때문인지,

걸친 옷들도 유명 브랜드 옷으로 휘감고 있던 중학교 아이는 고등학생 틈에서 눈치를 보다

어제는 욕을 섞어가며 교육기간 동안의 핸드폰 사용에 불만을 드러냅니다.

 

가끔 이런 교육을 하다 보면

아이들 스스로 어디에서부터 잘못된 것이지 있을지 궁금하기도 합니다.

 

오늘은 밤새 자지 않고 놀다가 학교 가서 잔다는 아이는 고등학교 졸업이 목표라고 합니다.

학교 출석 일수를 간신히 채우고 있는 것은 자기 스스로의 노력이라고 말하는 아이에게

그만큼이라도 하는 것에 칭찬을 해 주고 있는 제가 맞는지도 가끔은 헷갈립니다. .

 

오늘은 특히나 마지막 날이라는 홀가분 때문인지, 다시 안 봐도 된다는 생각 때문인지

교육기간 동안 내내 욕을 달고 있더니

오늘은 혼잣말로 중얼중얼 활동을 너무 방해하여 행동에 브레이크를 거니,

걸쭉한 욕을 쏟아 내고는 무슨 말을 했는지 물어보면 아무 일도 없었다는 얼굴로

"아무 말도 안 했는데요."라고 냉소적은 내뱉습니다.

 

#프리즘 카드

한 친구가 하고 나면 이제 다른 친구가 일어나고~~

두더지 게임처럼 어디로 튈지 모르는 아이들과 5일을 하고 나면 많이 지치네요.

 

생각해 보면 학교에 정해진 시간에 가지 않고, 엎드려만 있던 친구들이

제시간에 오고, 앉아 있는 것만으로도

아이들 입장에서는 크게 양보하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니 5일간의 교육이 마무리는 되는 오늘은

고슴도치처럼 가시를 곤두세우고 자신을 건드린다고 생각하면 즉각 반응했던 것은

어쩌면은 당연한 일이겠지요.

 

특별교육을 하면서 만나는 대상들과 5일의 교육을 진행하고 나면,

일반적인 다른 일정의 한 달 동안 하는 고민 이상으로 많이 하게 되고,

저 스스로를 되돌아보고 점검하게 만드는 성장통을 앓게 되는 것 같습니다.

 

만약 저의 아들들이었다면 100% 등짝 스매싱 몇 번을 했을 상황에서도

잘 참아내게 만들어 주는 제 입장에서는 훌륭한 교훈을 주는 친구들입니다.

 

그래도 오후에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거치며 하루에 3건의 일정을 무사히 마무리하였네요.

고등학교는 여학생들로 구성된 집단상담이었습니다.

오늘은 풍선을 돌려 가며 얼굴을 완성해 보는 시간으로 가져 보고 자기소개를 하는

시간을 가져보았습니다.

 

신기한 것은 #풍선의 얼굴과 실제의 얼굴이 닮은 꼴이 된다는 것입니다.

풍선에 그려진 얼굴을 보며 깔깔 웃는 아이, 마음에 안 든다고 수술 들어가는 친구,

옆에 있는 친구가 그린 것이 마음에 안 든다며 쫑알 쫑알 하고 있는 친구,

실제 자기 모습보다 잘 그려진 것 같다고 만족스러워하는 친구,

 

 

 

 

자기소개 시간을 끝내고,

#마인드업카드에서

자기 강점을 찾아, 하드바로 마무리했습니다.

자기 강점은 과거 가지고 있던 강점,

현재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는 강점,

미래에 내가 가졌으면 하는 강점을 찾아보면 다양한 강점이 나오게 됩니다.

 

 

 

 

 

#집단상담 #학교폭력예방교육 #특별교육 #사랑의교실 #올웨이즈집단상담 #올웨이즈 #우울 #분노 #스트레스 #학교부적응 #학교폭력가해자 #병점상담 #어울림평화배움터

 

'집단상담 및 집단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계의 힘  (0) 2020.04.09
보호자의 특별교육 미참여시 과태료 부과  (0) 2020.04.04
자동차 키 못 찾고 헤맨 날~  (0) 2020.04.04
2017년 사랑의 교실  (0) 2020.04.03
보평초 생명존중 교육  (0) 2020.04.03